태양광 제조 과정
산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해당 산업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기본입니다.
태양광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제조 공정을 함께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 내용을 정리합니다.
● 태양광 제품 제조 과정
석영(규소) → 폴리실리콘 → 웨이퍼 → 셀 → 모듈 단위 제작 → 태양광 발전
1) 석영 : 석영은 쉽게 말해 모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석영에 규소(Si) 함유량이 높아 폴리실리콘 제작에 활용됩니다. 석영(SiO2)에 코크스(탄소, C)를 첨가해 열을 가하면 산소가 날아가고 메탈실리콘(MG-Si)형태가 됩니다.
2) 웨이퍼 생산 : 웨이퍼는 반도체 특성을 부여하기 전, 그림을 그릴 도화지(고순도의 기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동그란 것은 반도체에 쓰이는 웨이퍼, 태양광에 사용되는 것은 보통 네모난 모양입니다. 웨이퍼는 단결정과 다결정이 있는데 단결정이 효율이 높고 제조비용이 높습니다.
3) 셀 : 부도체의 성격인 규소(Si)에 반도체 성격을 부여하는 작업으로, 이 과정을 거쳐야 전지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셀은 P-type과 N-type을 서로 붙여 생성합니다.
P-type 과 N-type은 몇 족 원소에 규소를 주입시키냐에 따라 구분합니다. 크게 중요하진 않습니다.
보통의 태양광 셀은 P-type 기판에 N-type의 Layer를 만드는 P타입 구조가 대다수 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N-type기판에 P-type Layer를 만드는 N타입 구조가 확대되는 추세입니다(효율성↑)
4) 모듈 : 셀을 짜집기해 모듈을 만듭니다. 조립 형태의 느낌과 유사한데, 태양전지셀에 보호막인 EVA를 앞뒤로 둘러싸고 유리를 외부에 두어 보호역할과 투과성을 높입니다.
5) 최종 완성 : 모듈을 배열하여, 인버터, ESS, 시스템 장치 등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인 것을 덧붙이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됩니다.
간단하게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산업의 밸류체인을 이해하고 있으면 나중에 산업 뉴스를 보게 될 때 이해하기 훨씬 쉬워집니다.
'산업 뉴스 & 공부 > 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보단 수소", 모건스탠리의 톱픽(TOP Pick)은 ? (0) | 2022.03.31 |
---|---|
[산업공부 - 태양광 ②] 페로브스카이트(PSC) 관련 업체는 ? (0) | 2022.03.31 |
탄소를 많이 배출하면 기업 경영이 어려워지는 이유 (0) | 2022.03.30 |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 (0) | 2022.03.29 |
우크라 침공에 유럽 신재생 전환 속도...에너지업계 친환경 성장 본격화 (0) | 2022.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