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화7

항공우주 관련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액체엔진) 항공우주 관련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액체엔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 이후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내 기업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있습니다. 독자적인 엔진 생산 능력 확보 누리호는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km 궤도에 올릴 수 있는 한국형 발사체입니다. 누리호 1단에 75톤 급 액체엔진 4기 등 총 6개의 엔진이 탑재됐으며, 모든 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조립, 납품했습니다. 엔진은 발사체의 심장이라 불릴 수 있는 핵심부품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하 180도~ 연소 시 발생하는 3300도의 초고온을 모두 견딜 수 있는 엔진 제작에 성공했습니다. 2016년 3월 누리호에 엔진 납품을 시작으로 총 46기의 엔진을 제작한 경험이 있으며, .. 2022. 7. 18.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②] 자회사 분석 & 한화그룹과 시너지 기대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②] 자회사 분석 & 한화그룹과 시너지 기대 쎄트렉아이는 두 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쎄트렉아이 본 업과 어떤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쎄트렉아이 지분을 취득하여 우주산업 전담 TF팀을 출범한 것이 어떤 의미일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IIS - 위성영상판매 (지분 62.5%) 쎄트렉아이의 자회사인 SIIS는 위성영상 판매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합니다. 촬영된 위성영상을 직접 판매, 고객이 직접 위성영상을 수신하도록 직수신권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원가 비중이 크지 않고 이익이 많이 발생하는 사업으로 위성 보유자와의 계약 여부가 관건입니다. 우리나라 아리랑 3,5,3A호 위성영상 독점 판매권 획득, 해외 국가들과의 위성.. 2022. 5. 30.
누리호, 6월 15일 발사일 확정 누리호, 6월 15일 발사일 확정 과기부는 누리호 2차발사 예정일을 오는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가능 기간을 확정한 발사관리위원회는 누리호의 발사 현황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점검하기 위해 나로우주센터에서 개최됐습니다. 최종준비작업, 발사 조건(기상, 우주환경) 등을 검토해 6월 15일로 일정이 정해졌으며,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6월 16일~23일을 예비 발사일로 설정했습니다. 누리호 개발 핵심 참여 기업 누리호 발사에는 방산업체들이 중심에 있습니다. 체계총조립과 1단 추진제 탱크 제작 등을 맡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75톤급 액체로켓엔진과 터빈을 제작, 각종 밸브류 제작과 시험설비 구축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발사대시스템을 제작한 현대중공업, 위성항법을 맡은 덕산넵코어스 등 .. 2022. 5. 25.
한화시스템, UAM에 위성인터넷까지?! 한화시스템, UAM에 위성인터넷까지?! 드론을 닮은 UAM(도심항공 모빌리티) 기체인 '버터플라이'는 한화시스템이 미국 오버에어와 협력해 개발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2020년 오버에어 지분의 30%를 약 3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버터플라이'는 100% 전기로 구동되어 탄소배출 문제에도 자유로우며, 수직 이착륙이 가능해 넓은 활주로가 필요 없으며, 기존 헬리콥터 대비 고성능, 고효율과 저소음으로 도시 속에서 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대속도 320km/h로 서울과 인천을 20분만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한화시스템, 미래 모빌리티 토탈 솔루션 구축 목표 한화시스템은 버터플라이의 상세 설계를 진행 중입니다. 2023년 상반기 무인 시제기 제작이 목표로 2024, 2025년.. 2022. 5. 21.
한화솔루션, 한국&미국에 대규모 투자 한화솔루션, 한국&미국에 대규모 투자 태양광 대표기업인 한화솔루션이 총 3800억 투자를 통해 국내 셀 라인 신설, 미국 모듈 공장 신설에 나섰다는 좋은 소식이 발표 되었습니다. 관련 업계와 많은 전문가들은 전세계적인 기후 위기와 러-우 전쟁, 에너지 안보 등의 이슈로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이러한 전 세계적인 움직임을 감안해 친환경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 기반 시설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국내 1800억, 미국 2000억 투자 한화솔루션은 국내 태양광 셀 라인 신설을 위해 1800억 원을 투입합니다. 내년 상반기부터 생산이 시작되며, 셀 라인 투자는 2017년 이후 5년만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 최대 규모인 5.4GW의 셀 생.. 2022. 5. 13.
원웹 & 키메타, 우주인터넷 서비스 제공(+ 한화시스템) 원웹 & 키메타, 우주인터넷 서비스 제공 금일 위성인터넷과 관련하여 좋은 기사가 나와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영국 위성 인터넷 전문 기업 '원웹(OneWeb)'이 미국 안테나 업체 '키메타'와 함께 미국 정부에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소식입니다. 원웹 자회사 원웹 테크놀로지가 키메타와 지난 18일 광대역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는데요. 키메타의 안테나와 원웹 테크놀로지의 하드웨어 솔루션이 결합하여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원웹 - 저궤도 위성통신 대표 기업 원웹은 2019년 세계 최초로 우주인터넷용 위성을 발사한 우주 인터넷 대표 기업입니다. 그동안 저궤도에 428개를 쏘아올렸고, 올 해 648개를 띄워 본격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 2022. 4. 20.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태양광 수혜주) 국내 태양광 관련 가장 대표적인 종목은 한화솔루션 입니다. 최근 한화솔루션은 REC실리콘의 지분을 16.67% → 21.34% 로 늘려 최대주주로 등극을 했는데요, REC실리콘은 미국 내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 기판의 핵심 원재료이며, 이를 이용해 웨이퍼, 셀, 모듈 단위를 제작하여 태양광 제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사실 한화솔루션은 이전에 폴리실리콘 사업을 이어가다 수년간의 적자로 2022년에 철수를 했습니다. 중국의 원가경쟁에서 밀려버린 것이지요. 그러다 최근 폴리실리콘 가격의 급등으로 지난해 말 REC실리콘 지분을 투자했으며, 최근 최대주주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폴리실리콘 사업 확대에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또한 미국 업.. 2022.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