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뉴스 & 공부/친환경45

[한화솔루션] 미국 태양광 투자 규모 확대 [한화솔루션] 미국 태양광 투자 규모 확대 한화솔루션이 미국 내 태양광 투자 규모 확대를 검토한다는 좋은 소식입니다. 지난 5월에 발표한 투자 계획에 이어 추가 투자 가능성을 열었다고 합니다. * 지난 투자 계획 발표는 아래 링크를 확인 https://investin.tistory.com/43?category=547803 한화솔루션, 한국&미국에 대규모 투자 한화솔루션, 한국&미국에 대규모 투자 태양광 대표기업인 한화솔루션이 총 3800억 투자를 통해 국내 셀 라인 신설, 미국 모듈 공장 신설에 나섰다는 좋은 소식이 발표 되었습니다. 관련 업계와 investin.tistory.com 지난 5월 투자 규모는 국내 태양광 셀라인 신설용 1,800억 원을 비롯해, 미국에서는 2,000억원을 투자해 1.4GW규.. 2022. 8. 6.
한화큐셀 태양광 핵심부품 수급 진행 중 한화큐셀 태양광 핵심부품 수급 진행 중 한화큐셀이 캐나다 CPS(캐네디언 프리미엄 샌드)로부터 유리 수급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유리는 태양광 모듈의 핵심 부품으로, 태양광 모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CPS와 한화큐셀은 유리 판매에 대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한화큐셀은 CPS가 매니토바주 셀커크 공장에서 생산한 유리를 받을 계획입니다. 미국에서 태양광 모듈 생산량을 늘리며, 유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가기 위해 CPS와 계약을 살피고 있는 것이로 보입니다. 한화큐셀의 모회사인 한화솔루션은 2,000억원을 투자해 1.4GW 규모 태양광 모듈 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었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이르면 내년 상반기 중 생산이 시작되므로 지금부터 핵심 부품인 유리 수급을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h.. 2022. 7. 22.
[씨에스윈드] 대만 해상풍력 사업 기대 [씨에스윈드] 대만 해상풍력 사업 기대 대만의 해상풍력사업이 2단계 시동을 걸며 풍력타워 기업인 씨에스윈드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만 전력회사 TPC는 295MW급 용량의 해상 풍력 발전단지 2단계를 개발합니다. 대만은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전체 국가 에너지의 20%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만 정부는 3단계의 해상 풍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1단계는 2026~2027년 3GW, 2단계는 2028~2029년 중 실시하여 2031년까지 총 9GW 해상 풍력 용량을 추가한 뒤, 2035년까지 해상그리드에 연결해 총 15G용량의 해상 풍력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만의 해상풍력 계획으로 씨에스윈드 수혜가 예상됩니다. 씨에스윈드는 대만에서 600억원의 풍력타워 공급 계.. 2022. 7. 20.
한화솔루션 유럽 태양광 개발 확대 한화솔루션 유럽 태양광 개발 확대 한화솔루션의 유럽 자회사 큐에너지가 독일 재생에너지 전문회사 엔비리아(ENVIRIA)와 함께 500MW 규모의 태양광 개발사업을 추진합니다. 엔비리아는 2017년 설립된 태양광 전문회사로 지금까지 100개 이상의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양 사는 독일 전역의 2~7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38개를 공동으로 개발합니다. 엔비리아가 태양광 발전 부지 확보와 정부 인허가 취득을 진행하고, 한화솔루션이 2025년까지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해 매각하거나, 직접 운영하며 전력을 판매할 계획입니다. 한화솔루션은 이번이 독일에서의 첫 사업으로, 향후 풍력에너지 및 ESS 등 다양한 사업을 유럽에서 진행할 계획입니다. 한화솔루션은 프랑스 개발전문업체 RES프랑스 인수 이후.. 2022. 7. 13.
한화솔루션 태양광 하반기 기대 한화솔루션 태양광 하반기 기대 한화솔루션의 태양광사업이 6분기 연속 적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증권업계에서는 적자 폭이 줄어들며 하반기에는 실적이 정상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수익구조 해결이 중요해질 것입니다. *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영업이익) 2021년 1Q (-)149억 2021년 2Q (-) 646억 2021년 3Q (-) 957억 2021년 4Q (-) 1,533억 2022년 1Q (-) 1,142억 한화솔루션의 태양광사업은 지난 해 4분기 마이너스 최대폭을 기록한 후 지난 1분기 적자폭이 감소한 상태입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번 2분기 영업손실이 700~800억대로 작년 2분기에 비해는 적자폭이 증가하나, 작년 4분기를 기점으로 적자폭의 감소세를 나타낼.. 2022. 7. 12.
해상풍력 발전 관련주(삼강엠앤티) 해상풍력 발전 관련주(삼강엠앤티) 최근 EU집행위원회에서 2030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기존 32%에서 40%로 높이기로 합의하면서 국내 해상풍력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가 변동이 있었습니다. 해상풍력이란 바다에 풍력터빈을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해저에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부유식과 고정식으로 구분되어집니다.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육상풍력에 비해 더 크고 더 많이 설치할 수 있어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기업 - 삼강엠앤티 해상풍력발전기는 하부구조물과 타워, 터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양플랜트 건설 경험이 있는 국내 업체들은 기초와 타워에 주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 중 삼강엠앤티는 하부구조물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대만에 이어 미국, 유럽 등 다.. 2022. 6. 29.
한화큐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셀 양산 기대 한화큐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셀 양산 기대 한화솔루션의 100% 자회사 한화큐셀이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에 한걸음 다가갔습니다. 오늘 한화큐셀이 최근 6인치 태양광 탠덤셀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는데요, 탠덤셀이란 기존 폴리실리콘 기반의 태양광 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얇은 두께의 셀을 쌓은 것을 말합니다. 폴리실리콘 셀은 장파장 흡수를, 페로브스카이트 셀은 단파장을 흡수하여 발전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 셀은 29.1%의 이론적 효율을 가지는데 반해, 탠덤셀은 최대44%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의 특징 페로브스카이트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광물로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며, 광전효율이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 소재인 실리콘보다 가볍고 유연하며, 제조 공정이.. 2022. 6. 28.
원자력 발전 산업, 국내 투자 지속 원자력 발전 산업, 국내 투자 지속 윤석열 대통령은 이전 정부와 달리 원자력발전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원전 협력업체 일감 발주, 중소기업 금융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런 정부의 방향에 따라 원전에 주력했던 두산에너빌리티(두산중공업)외 삼성, SK, GS 등도 투자에 나서며 사업 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SK그룹은 미국 원전 업계의 혁신 기업인 '테라파워'와 포괄적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또한 SK는 안전성과 실효성이 높은 SMR(소형모듈원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GS에너지와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3사는 지난 4월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전세계 SMR 발전소 건설, 운영에 대한 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GS그룹은 발전소 운영능력, 두산의.. 2022. 6. 27.
한화솔루션 수소 산업 강화(수소탱크) 한화솔루션 수소 산업 강화(수소탱크) 한화솔루션이 미국 수소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사업에 참여합니다. 해당 사업은 에너지 기업 쉘(Shell)이 추진 중이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진행됩니다. 자회사를 통한 수소 탱크 공급 한화솔루션의 100% 자회사 한화시마론이 쉘에 넵튠(Neptune)을 공급한다고 밝혔는데요, 넵튠은 운송용 수소탱크를 말합니다. 넵튠은 탄소섬유의 복합소재로 제작된 타입4 탱크로, 최대 2,000리터까지 저장가능한 수소탱크입니다. 넵튠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압력으로 수소 저장이 가능하며, 탱크 변형 방지 기술이 적용되기도 했습니다. 한화시마론은 2020년말 한화솔루션이 인수한 업체이며, 현재 미국 앨라배마주 오펠리카시에 1차로 600억원을 투자하며 고압 탱크 공장을 건설 중입니.. 2022.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