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뉴스 & 공부/친환경

[산업공부 - 태양광 ②] 페로브스카이트(PSC) 관련 업체는 ?

by 돈이 보이는 투자 이야기 2022. 3. 31.

페로브스카이트 관련 업체는 ?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PSC) : 새롭게 등장할 태양광 소재로, 1micron 두께의 태양광 셀

 

페로브스카이트(PSC)란 러시아 우랄 산맥에서 처음 발견된 산화칼슘 티타늄 광물입니다. PSC는 부도체/반도체/도체/초전도 성질을 보이며, 얇고 유연한 성질을 가집니다. PSC는 그 특이한 성질로 인해 태양광 산업에서 꿈의 소재로 표현되고는 하는데요. 어떤 이유 때문인지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태양광으로 세계 전력을 충당하려면 기본적으로 1) 효율 2) 가격 3) 충분한 면적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개발 된 것이 1micron 두께의 페로브스카이트 셀 입니다.

<자료 : 흥국증권 리서치센터, SAULE>

위 사진이 페로브스카이트인데요, 얇은 스티커처럼 생겼는데, 태양광 발전의 핵심 소재로 자리잡을 것이며, 많은 기업들이 이를 위해 연구중입니다.

 

1) 효율 : 25%이상(2019년 기준), 폴리실리콘은 23.4% 수준

2) 가격 : 원가는 폴리실리콘 Cell 대비 1/3 ~ 1/10 수준

   ※ 기존 폴리실리콘은 1000~1400도의 열처리가 필요한 반면, 페로브스카이트는 100~400도 정도의 열처리만 필요함

3) 충분한 면적 ※ 무궁무진하게 활용 가능

  - 기존의 태양광 폴리실리콘 셀에 페로브스카이트를 덧붙여 2겹으로 광전효율 증가 가능(PSC/폴리 텐덤 태양전지)

  - 건물 창문/외벽에 붙여 설치(건물 자체가 태양광 발전)

  - 차량 외관에 코팅(자가 발전하는 전기차)

  - 휴대폰 뒷면(자가 충전)

건물 외벽, 유리가 페로브스카이트로 뒤덮일 것이구요,
차량의 상부는 이런식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상기 사진자료 2개 : 흥국증권 리서치센터, SAULE>

4) 관련 업체 : 한화솔루션, 유니테스트, 신성이엔지 (종목 추천 아님)

    ※ 한화솔루션은 PSC/폴리 텐덤 태양전지 개발에, 유니테스트는 PSC 대면적화에 대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5) 시장규모 : 왼쪽(폴리실리콘)과 오른쪽(페로브스카이트) 시장규모를 봐도 2026년 정도쯤부터는 페로브스카이트 시장이 폴리실리콘 시장을 역전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만큼 시장 내 확장되어가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지요.

 

<자료 : 흥국증권 리서치센터, SAULE>

지금부터라도 이 산업과 관련된 회사에 투자한다면, 2026년이 됐을 때 계좌가 어떻게 바뀌어 있을까 기대가 됩니다 :-)

조금 지난 자료이지만, 보기에 편하고 사진도 많이 첨부되어 있어 이해하기 좋은 자료이기에 공유합니다.

페로브스카이트_흥국.pdf
3.73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