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우주15

[KT LG유플러스 SKT 한컴 네이버]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 진출 [이동통신3사 & 플랫폼 기업]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 진출 국내 통신 3사, 한컴, 네이버 뿐 아니라 LIG넥스원, KAI 도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인공위성 데이터는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지구 관측 영상, 사진 등을 통해 얻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우주산업 규모는 3조 2610억원 수준으로, 세계 우주 시장의 1%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위성방송통신, 항법 분야가 전체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위성제조(10%) 및 발사체 제작(6%)의 규모가 무척 작습니다. 스페이스 데이터 외 다른 분야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커 다른 우주산업으로는 진출이 한정적인 상황입니다. 이동통신 3사 - 뉴스페이스 시대 대응 KT.. 2022. 7. 26.
항공우주 관련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액체엔진) 항공우주 관련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액체엔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 이후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내 기업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있습니다. 독자적인 엔진 생산 능력 확보 누리호는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km 궤도에 올릴 수 있는 한국형 발사체입니다. 누리호 1단에 75톤 급 액체엔진 4기 등 총 6개의 엔진이 탑재됐으며, 모든 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조립, 납품했습니다. 엔진은 발사체의 심장이라 불릴 수 있는 핵심부품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하 180도~ 연소 시 발생하는 3300도의 초고온을 모두 견딜 수 있는 엔진 제작에 성공했습니다. 2016년 3월 누리호에 엔진 납품을 시작으로 총 46기의 엔진을 제작한 경험이 있으며, .. 2022. 7. 18.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확대(KT, 한화)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확대(KT, 한화)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인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위성을 쏘아올릴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6G 이동통신의 발전이 기대되며, 윤석열 정부도 우주산업과 위성통신, 6G 등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위 관계자는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라며, 3분기 중 예타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상에서 소형위성을 발사해 2,000km 내 저궤도에서 군집화해 지상 전역의 통신을 커버하는 기술입니다. 즉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해 세계 모든 곳(사막, 바다 포함)에 인터넷 보급이 가능하고, 날아다니는 UAM, 항공기 내에서도 Wifi 사용 .. 2022. 6. 23.
누리호 다누리 발사, 항공우주 산업 본격화 누리호 다누리 발사, 항공우주 산업 본격화 다누리는 3월 우주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우주환경시험을 끝냈고, 오는 7월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네버럴 미 우주군기지로 옮겨진 뒤, 8월 3일 오전 8시 20분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로 발사됩니다. 150만km를 날아갔다가 달과 지구 중력에 이끌려 날아와 달 궤도에 안착하기까지 약 4개월 이상 소요됩니다. 비행기간이 약 80~140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오래 걸리지만, 연료 소모량을 약 25%로 줄일 수 있습니다. 다누리는 무게 678kg, 가로2.14m, 세로 1.82m 의 달 탐사선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oTCqm 홈플래닛 140cm 자바라 스탠드 탭 패드 태블릿 스마트폰 거치대 대형 COUPANG w.. 2022. 6. 7.
쎄트렉아이 인공위성 서비스 네이버와 협업 쎄트렉아이 인공위성 서비스 네이버와 협업 쎄트렉아이는 지구 관측용 위성체계를 개발하고 수출하는 기업으로, 위성 본체 뿐 아니라 전자광학 탑재체 및 관제 시스템을 아우르고 있는 종합 인공위성 시스템 공급 업체입니다. 국내외 우주사업에 참여하여 높은 기술력을 축적하고 있고, 특히 세계 최상 기술인 0.3m급 해상도의 인공위성 'SpaceEye-T'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쎄트렉아이 & 네이버 MOU체결 최근 쎄트렉아이는 네이버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음을 밝혔습니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우주 서비스를 강화하려는 모습이 보입니다. 네이버는 검증된 클라우드 플랫폼을 쎄트렉아이에게 제공하고, 쎄트렉아이는 플랫폼을 통해 대용량의 위성 영상을 제공하게 됩니다. 또한 네이버의 인공지능(AI) 및 검색, 3D맵 기술 등이 위.. 2022. 5. 31.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②] 자회사 분석 & 한화그룹과 시너지 기대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②] 자회사 분석 & 한화그룹과 시너지 기대 쎄트렉아이는 두 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쎄트렉아이 본 업과 어떤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쎄트렉아이 지분을 취득하여 우주산업 전담 TF팀을 출범한 것이 어떤 의미일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IIS - 위성영상판매 (지분 62.5%) 쎄트렉아이의 자회사인 SIIS는 위성영상 판매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합니다. 촬영된 위성영상을 직접 판매, 고객이 직접 위성영상을 수신하도록 직수신권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원가 비중이 크지 않고 이익이 많이 발생하는 사업으로 위성 보유자와의 계약 여부가 관건입니다. 우리나라 아리랑 3,5,3A호 위성영상 독점 판매권 획득, 해외 국가들과의 위성.. 2022. 5. 30.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①] 국내 유일 위성시스템 개발 업체 쎄트렉아이, 국내 유일 위성시스템 개발 업체 쎄트렉아이는 1999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출신 연구원들 중심으로 설립 되었으며, 1990년대 우리별 위성 시스템 개발 및 2000년대 나로호 발사를 비롯하여 30여개의 국내외 우주사업에 참여하여 높은 기술력을 축적해오고 있습니다. 쎄트렉아이는 지구 관측용 위성체계 개발 및 수출기업으로, 위성 본체, 전자광학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을 아우르고 있어 인공위성 시스템 전체 일괄 공급이 가능한 국내 유일한 기업입니다. 쎄트렉아이는 카메라, 센서, GPS수신기 등 대부분의 위성 부품을 자체적으로 설계, 생산하고 있고, 자회사 SIIS(지분 62.5%)를 통한 영상 판매사업과 SIA(지분 89.2%)를 통한 영상 분석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 해.. 2022. 5. 29.
누리호, 6월 15일 발사일 확정 누리호, 6월 15일 발사일 확정 과기부는 누리호 2차발사 예정일을 오는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가능 기간을 확정한 발사관리위원회는 누리호의 발사 현황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점검하기 위해 나로우주센터에서 개최됐습니다. 최종준비작업, 발사 조건(기상, 우주환경) 등을 검토해 6월 15일로 일정이 정해졌으며,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6월 16일~23일을 예비 발사일로 설정했습니다. 누리호 개발 핵심 참여 기업 누리호 발사에는 방산업체들이 중심에 있습니다. 체계총조립과 1단 추진제 탱크 제작 등을 맡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75톤급 액체로켓엔진과 터빈을 제작, 각종 밸브류 제작과 시험설비 구축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발사대시스템을 제작한 현대중공업, 위성항법을 맡은 덕산넵코어스 등 .. 2022. 5. 25.
미래 먹거리를 우주에서(KT, 한글과컴퓨터) 미래 먹거리를 우주에서(KT, 한글과컴퓨터) 미래 먹거리 발굴 중에 있는 KT와 한글과컴퓨터가 차세대 사업을 '스페이스 데이터(Space Data)'로 정했습니다. 스페이스 데이터란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지구 관측 영상 및 이미지 등 우주를 통해 오가는 다양한 정보들을 말합니다. KT는 2020년 통신산업을 벗어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입니다. 한컴 역시 오피스 사업에서 벗어나 종합 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KT SAT - 국제 협력을 통해 스페이스 데이터 제공 KT 는 우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재가공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사업을 운영하겠다는 전략입니다. KT그룹에서는 52년간 인공위성 사업을 영위해 온 KT SAT이 전면에 나섭니다. 사업 진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 2022.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