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브스카이트5 한화큐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셀 양산 기대 한화큐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셀 양산 기대 한화솔루션의 100% 자회사 한화큐셀이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에 한걸음 다가갔습니다. 오늘 한화큐셀이 최근 6인치 태양광 탠덤셀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는데요, 탠덤셀이란 기존 폴리실리콘 기반의 태양광 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얇은 두께의 셀을 쌓은 것을 말합니다. 폴리실리콘 셀은 장파장 흡수를, 페로브스카이트 셀은 단파장을 흡수하여 발전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 셀은 29.1%의 이론적 효율을 가지는데 반해, 탠덤셀은 최대44%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의 특징 페로브스카이트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광물로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며, 광전효율이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 소재인 실리콘보다 가볍고 유연하며, 제조 공정이.. 2022. 6. 28. 태양광 자동차 출시(한화솔루션, 유니테스트) 태양광 자동차 출시(한화솔루션, 유니테스트) 네덜란드 전기차 스타트업인 라이트이어가 태양광에너지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 자동차 '라이트이어 제로(Lightyear 0)'를 공개했습니다. 라이트이어는 해당 모델이 올해 말 생산에 들어가질 것이라 밝혔습니다. 이 차는 차량 지붕과 후드에 60kWh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팩과 태양광 패널을 장착한 차량입니다. 차량이 태양에 노출될 때마다 자동으로 충전되며, 운전 중에도 충전이 가능합니다. 출퇴근시간이 짧거나 차량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휘발유나 전기 충전을 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업체는 좀 더 저렴한 차기 모델을 계획 중입니다. 태양광 에너지의 활용이 점점 다양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핵심기술 - 페로브스카이트(PSC) 태양광의.. 2022. 6. 13. 태양광 뉴스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태양광 뉴스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국내 최대, 글로벌 10대 신재생 에너지 전시회인 '국제 그린에너지 엑스포'에 올해 26개국 252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이번에도 태양광 전시가 주를 이뤘다는 소식입니다. 어떤 기업이 어떤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화솔루션 -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부인 한화큐셀은 미래 태양광 시장 게임 체인저로 평가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을 전시했습니다. 기존 실리콘 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를 겹겹이 쌓아 만드는 탠덤셀은 단파장과 장파장 빛 모두 흡수하여 발전 효율성을 대폭 올릴 수 있습니다(이론상 한계효율 44%,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29%). 탠덤 셀은 2024~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2022. 4. 16. 한화큐셀, 유럽으로 뻗어나간다 한화큐셀, 유럽으로 뻗어나간다 오늘도 한화큐셀에 대한 포스팅인데요, 요즘 친환경에너지 전환의 속도가 가해지며 관련뉴스가 더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한화큐셀의 기술과 현재 사업확장 상황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S프랑스 인수를 통한 사업규모 확대 한화솔루션은 지난 해 프랑스 재생에너지 전문 업체인 RES프랑스(현 Q에너지) 지분 100%를 인수했습니다. 이를 통해 RES프랑스가 보유하던 5GW규모의 태양광·풍력 등 발전 사업권을 확보하여 글로벌 사업권 규모를 10GW → 15GW로 늘렸습니다. 한화큐셀이 풍력 상업 역량까지 갖추는 모습도 보이고 있어 기대가 됩니다.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화큐셀 한화큐셀은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등에서 태양광 모듈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특.. 2022. 4. 10. [산업공부 - 태양광 ②] 페로브스카이트(PSC) 관련 업체는 ? 페로브스카이트 관련 업체는 ?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PSC) : 새롭게 등장할 태양광 소재로, 1micron 두께의 태양광 셀 페로브스카이트(PSC)란 러시아 우랄 산맥에서 처음 발견된 산화칼슘 티타늄 광물입니다. PSC는 부도체/반도체/도체/초전도 성질을 보이며, 얇고 유연한 성질을 가집니다. PSC는 그 특이한 성질로 인해 태양광 산업에서 꿈의 소재로 표현되고는 하는데요. 어떤 이유 때문인지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태양광으로 세계 전력을 충당하려면 기본적으로 1) 효율 2) 가격 3) 충분한 면적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개발 된 것이 1micron 두께의 페로브스카이트 셀 입니다. 위 사진이 페로브스카이트인데요, 얇은 스티커처럼 생겼는데, 태양광 발전의 핵심 소재로 자리잡을 것이며, .. 2022. 3.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