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 관련주7

태양광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해서 오른다(OCI 강세) 태양광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해서 오른다(OCI 강세) 태양광 모듈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규소 함유량이 높은 석영으로 폴리실리콘을 제작합니다. 폴리실리콘을 이용해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퍼에 반도체 성격을 부여하여 셀을 만들고, 셀이 모여 모듈을 형성하게 됩니다. 태양광 모듈을 만들기 위해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매우 중요하며, 폴리실리콘은 모듈가격의 약 30%정도를 차지합니다.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 오를 전망 폴리실리콘 가격은 2020년 5월 대비 약 7배정도 급등해 있어 kg당 32달러 수준입니다. 모든 재화가 그렇듯이 수요가 공급대비 증가했기 때문에 가격이 올랐습니다.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폴리실리콘 최대 생산국인 중국의 증설 물량은 적고, 웨이퍼와 모듈 업.. 2022. 5. 4.
미국, 중국산 태양광 경계 강화(한화솔루션 수혜) 미국, 중국산 태양광 경계 강화(한화솔루션 수혜) 미국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뉴욕타임즈(NYT)는 미국 내 318개의 태양광 건설 공사가 연기되거나 취소됐다고 보도했는데요, 수백억 달러 규모의 공사가 중단된 이유는 태양광 모듈을 쉽게 구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태양광 모듈 82%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2012년 버락 오바마 시절부터 중국산 태양광 모듈에 14~15%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계속해서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동남아에서 수입되는 모듈이 실제로는 중국업체들의 해외 자회사 제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미국 상무부가 동남아산 태양광 모듈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입니다.. 2022. 4. 30.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1위 업체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1위 업체 며칠전부터 계속 태양광과 관련한 소식들을 포스팅했는데요, 오늘 나온 따끈한 뉴스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 부문인 한화큐셀이 2021년 미국 내 주거용,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는 기분좋은 소식입니다. 미국 내 점유율 1위 업체 한화큐셀은 미국 내 주거용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24.1%로 4년 연속 1위를 기록했으며, 상업용 모듈 시장에서도 20.6%의 점유율로 3년 연속 1위를 유지했습니다. 정책 흐름을 타고 순항 예정 미국 시장은 바이든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으로 관련 산업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데요. 미국 에너지부는 2021년 4%의 태양광 발전 비중을 2035년까지 4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우드.. 2022. 4. 11.
한화큐셀, 유럽으로 뻗어나간다 한화큐셀, 유럽으로 뻗어나간다 오늘도 한화큐셀에 대한 포스팅인데요, 요즘 친환경에너지 전환의 속도가 가해지며 관련뉴스가 더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한화큐셀의 기술과 현재 사업확장 상황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S프랑스 인수를 통한 사업규모 확대 한화솔루션은 지난 해 프랑스 재생에너지 전문 업체인 RES프랑스(현 Q에너지) 지분 100%를 인수했습니다. 이를 통해 RES프랑스가 보유하던 5GW규모의 태양광·풍력 등 발전 사업권을 확보하여 글로벌 사업권 규모를 10GW → 15GW로 늘렸습니다. 한화큐셀이 풍력 상업 역량까지 갖추는 모습도 보이고 있어 기대가 됩니다.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화큐셀 한화큐셀은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등에서 태양광 모듈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특.. 2022. 4. 10.
미국 내 태양광 1위 기업.. "한화큐셀" (feat. SEMA) 미국 내 태양광 1위 기업.. "한화큐셀" 계속해서 말씀드리는 부분이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전세계 '에너지 안보' 문제가 대두되면서, 각 국의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태양광 산업의 세액공제 법안의 연내 통과가 예측되면서 한화큐셀의 수혜도 기대가 되는 상황입니다. 미국 : SEMA(Solar Energy Manufacturing for America Act) 법안 통과 기대감 미국 내 태양광 산업 육성법안으로, 미국에서 생산한 태양광 모듈과 전지 등에 대해 2030년까지 세액공제를 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재 상원의 통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로, 연내 통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화큐셀 : SEMA 법안 통과 시 최대 수혜 기업 한화큐셀은 미국 주.. 2022. 4. 10.
한화솔루션, 한화큐셀에 집중하자 한화솔루션, 한화큐셀에 집중하자 안녕하세요 ~ :-) 오늘은 오늘 발간된 한화솔루션 증권사 리포트를, 그 중 태양광과 관련한 부분 위주로 다뤄볼까합니다. ▣ 증권사 리포트 요약 1. 1Q22 영업이익은 1,240억원으로 추정 컨센서스 1,436억에 하회할 전망이지만 한화큐셀 영업이익은 -1,088억원으로 적자가 축소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지난 4분기 대비 원가 하락이 반영되고 있고, ASP(평균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전망입니다. 평균 판매가격이 상승하여 가격 전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소식입니다. 케미칼 부분도 유가 급등으로 원가 부담이 심화되지만 가성소다 및 PVC 시황의 견조한 수요로 좋은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 본업의 지속 수요 증가와 점차 개선될 한화큐셀 매출.. 2022. 4. 4.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태양광 수혜주) 국내 태양광 관련 가장 대표적인 종목은 한화솔루션 입니다. 최근 한화솔루션은 REC실리콘의 지분을 16.67% → 21.34% 로 늘려 최대주주로 등극을 했는데요, REC실리콘은 미국 내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 기판의 핵심 원재료이며, 이를 이용해 웨이퍼, 셀, 모듈 단위를 제작하여 태양광 제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사실 한화솔루션은 이전에 폴리실리콘 사업을 이어가다 수년간의 적자로 2022년에 철수를 했습니다. 중국의 원가경쟁에서 밀려버린 것이지요. 그러다 최근 폴리실리콘 가격의 급등으로 지난해 말 REC실리콘 지분을 투자했으며, 최근 최대주주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폴리실리콘 사업 확대에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또한 미국 업.. 2022.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