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g8

국내 위성통신 서비스 출시 기대 [원웹, 한화시스템] 국내 위성통신 서비스 출시 기대 [원웹, 한화시스템] 저궤도 위성통신란 무엇인가 ? 낮은 고도에 띄운 위성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지상에 세운 기지국에 비해 산이나, 건물의 방해를 받지 않아 더 많은 지역에, 빠르게 통신 서비스를 보급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00~1500km 궤도에 위성을 띄워 통신망을 구축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인데요, 낮은 궤도에 띄우는 이유는 전파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5G, 6G가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해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 대표기업 - 스페이스X, 원웹 + 한화시스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있습니다. 또한 영국 우주탐사기업 원웹은 세계 최초로 우주인터넷 위성.. 2022. 8. 1.
일론머스크 스타링크 위성인터넷 본격화 일론머스크 스타링크 위성인터넷 본격화 일론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우주 위성인터넷망 프로젝트인 '스타링크(Starlink)'는 227kg의 소형 위성 약 12,000기를 지구 저궤도에 띄워 전 세계를 연결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12,000기에 추가로 40,000개를 더 쏘겠다고 허가를 신청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약 2,700개의 소형 위성을 쏘아올렸습니다.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서비스 범위를 각종 교통수단으로 확대하는 것에 승인했다는 소식입니다. 이로써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항공기와 선박, 차량 등 이동 중인 상황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주거지 등 고정된 장소에서만 스타링크에 접속할 수 있었습니다. 스페이스X는 하와이항공과 JSX .. 2022. 7. 4.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확대(KT, 한화)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확대(KT, 한화)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인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위성을 쏘아올릴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6G 이동통신의 발전이 기대되며, 윤석열 정부도 우주산업과 위성통신, 6G 등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위 관계자는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라며, 3분기 중 예타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상에서 소형위성을 발사해 2,000km 내 저궤도에서 군집화해 지상 전역의 통신을 커버하는 기술입니다. 즉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해 세계 모든 곳(사막, 바다 포함)에 인터넷 보급이 가능하고, 날아다니는 UAM, 항공기 내에서도 Wifi 사용 .. 2022. 6. 23.
인텔리안테크 위성안테나 매출 성장 기대 인텔리안테크 위성안테나 매출 성장 기대 6G 인터넷 서비스는 지구 저궤도를 이동하는 위성통신으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안테나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위성 안테나 산업과 관련한 인텔리안테크에 대한 부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웹과의 계약 체결로 사업 개시 인텔리안테크는 올 3분기 영국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인 '원웹(OneWeb)'에 저궤도 위성 안테나를 공급합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860억 규모의 듀얼 파라볼릭안테나를 단독 납품합니다. 듀얼 파라볼릭안테나는 위성 신호를 받는 접시 모양의 안테나 아래에 로봇팔이 부착된 형태의 안테나를 말합니다. 저궤도에서 저구 주위를 도는 위성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합니다. 세계적인 흐름은 저궤도 위성통신으로 저궤도 위성은 지구 어디서나 지형과 위치에 제약받지 않고.. 2022. 6. 20.
누리호, 6월 15일 발사일 확정 누리호, 6월 15일 발사일 확정 과기부는 누리호 2차발사 예정일을 오는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가능 기간을 확정한 발사관리위원회는 누리호의 발사 현황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점검하기 위해 나로우주센터에서 개최됐습니다. 최종준비작업, 발사 조건(기상, 우주환경) 등을 검토해 6월 15일로 일정이 정해졌으며,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6월 16일~23일을 예비 발사일로 설정했습니다. 누리호 개발 핵심 참여 기업 누리호 발사에는 방산업체들이 중심에 있습니다. 체계총조립과 1단 추진제 탱크 제작 등을 맡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75톤급 액체로켓엔진과 터빈을 제작, 각종 밸브류 제작과 시험설비 구축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발사대시스템을 제작한 현대중공업, 위성항법을 맡은 덕산넵코어스 등 .. 2022. 5. 25.
한컴, 25일 인공위성 발사 "군집위성 목표" 한컴, 25일 인공위성 발사 "군집위성 목표" 한글과컴퓨터 그룹의 첫 인공위성이자 국내 첫 관측용 인공위성인 '세종1호'가 5/25(수) 발사 일정을 확정했습니다. 기존 발사 계획일은 6/1이었으나, 날씨 문제로 발사일정을 앞당겼는데요, 이를 기반으로 한컴그룹은 우주 산업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세종1호는 스페이스X의 펠컨9 로켓에 실려,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25일 오후 2시 25분(한국 기준 26일 오전 3시 25분)에 발사됩니다. 세종1호는 크기 100*200*300mm, 무게 10.8kg의 나노급 초소형 저궤도 인공위성입니다. 지상으로부터 500km궤도에서 하루에 12~14회 지구를 선회합니다. 테스트를 거쳐 약 5m 해상도로 지구를 관측하여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게 됩니.. 2022. 5. 18.
도심항공교통(UAM), 2025년 상용화 된다 도심항공교통(UAM), 2025년 상용화 된다 에어택시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공중을 다니며 승객을 이동시키는 택시인데요, 예전에는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로만 느껴졌는데, 최근 UAM과 관련한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 생각보다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가 에어택시를 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심항공교통, 2025년 상용화 목표 UAM은 Urban Air Mobility 의 약자로 도심 항공 교통을 뜻합니다. 도심 항공 교통은 쉽게 말해 차세대 공중 교통체계라 할 수 있습니다. 운송기체, 정류장(버티포트), 정보통신 인프라, 플랫폼 등이 모두 포괄된 개념입니다. 운송기체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라고 할 수 있고, 이 운송기체는 도시 권역 30~50km를 시속 300km로 비행.. 2022. 5. 12.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뉴스에서도 많이 볼 수 있듯이 많은 기업들이 우주로 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고, 우주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는 기업들의 투자와 노력들이 많이 보이게 됩니다. 이들은 왜 우주로 가려고 할까요? 우주로 진출한 기업들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우주를 갈까요? 단순히 달 탐사, 화성 개발, 관광, 국가안보의 목적보다는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한 6G의 보급이 가장 큰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모든 곳에 공급한다면 통신사업 뿐 아니라 드론, 플라잉카,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산업에 이를 접목시킬 수 있기에 많은 기업들이 위성을 쏘아올리고 있습니다. 아마존, 우주인터넷 수조원 투입 2019년 4월, 아마존이 '카이퍼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카이퍼 프로젝트는 지구 저궤도에 통신위.. 2022.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