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관련주13 태양광 한화큐셀 PPA 전력거래계약 체결 태양광 한화큐셀 PPA 전력거래계약 체결 한화솔루션의 100% 자회사 한화큐셀이 미국 와이오밍 주에서 150MW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내년 말까지 완공 후, 현지 에너지 기업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을 체결했습니다. 이 발전소는 연간 350GWh의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는 약 39만명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 수준입니다. PPA란 전력구매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계약된 가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화큐셀에 따르면 생산된 전력은 현지 에너지 기업을 통해 전력 소비자에게 공급됩니다. 이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들은 RE100 이행 실적을 쌓을 수 있습니다. RE100참여 기업들은 PPA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조달하게 되고, 이런.. 2022. 6. 8. 한화솔루션, 볕(태양광) 뜰 날만 남았다 한화솔루션, 볕(태양광) 뜰 날만 남았다 오늘은 한화솔루션이 볕 뜰 날이 기대되는 리포트가 나와서 재생에너지 부분만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의 하반기 실적 턴어라운드가 불확실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물류비 부담으로 계속 적자 상태가 지속된다는 내용인데요. 하지만 큐셀부문은 판가 개선, 원가 감소 등 좋은 소식들이 나올 기업입니다. 판가 점진적 개선, 원가 하락 기대 최근 에너지 가격 급 상승으로, 태양광 모듈 판가의 가격 전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만 아직은 폴리실리콘의 전년대비 166%상승에 비해 모듈은 약 20%증가로 그 차이가 발생하지만, 올 하반기부터 폴리실리콘 공급 증가로 원재료 가격 안정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미국 내 시장 확대 전망 또한 저번.. 2022. 5. 10. 한화솔루션, 밸류체인 강화 ?! (feat. 웅진에너지 인수설) 한화솔루션, 밸류체인 강화 ?! (feat. 웅진에너지 인수설) 국내 태양광 대표 기업인 한화솔루션이 웅진에너지 인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큐셀) 부문은 태양광 셀과 모듈을 제조하는 사업인데, 웅진에너지는 이런 셀과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잉곳과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웅진에너지를 품게 된다면 잉곳부터 모듈까지의 태양광 밸류체인이 강화될 것이며, 이는 태양광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까지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웅진에너지, 국내 유일의 잉곳 & 웨이퍼 생산 기업 웅진에너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태양광 잉곳과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잉곳과 웨이퍼는 단결정or다결정에 따라 시장특성을 보이는데, 단결정은 고효율 출력이 가능하여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지만, 다결정은 제조공정이 비교적 단순.. 2022. 5. 6. 태양광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해서 오른다(OCI 강세) 태양광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해서 오른다(OCI 강세) 태양광 모듈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규소 함유량이 높은 석영으로 폴리실리콘을 제작합니다. 폴리실리콘을 이용해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퍼에 반도체 성격을 부여하여 셀을 만들고, 셀이 모여 모듈을 형성하게 됩니다. 태양광 모듈을 만들기 위해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매우 중요하며, 폴리실리콘은 모듈가격의 약 30%정도를 차지합니다.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 오를 전망 폴리실리콘 가격은 2020년 5월 대비 약 7배정도 급등해 있어 kg당 32달러 수준입니다. 모든 재화가 그렇듯이 수요가 공급대비 증가했기 때문에 가격이 올랐습니다.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폴리실리콘 최대 생산국인 중국의 증설 물량은 적고, 웨이퍼와 모듈 업.. 2022. 5. 4. 미국, 중국산 태양광 경계 강화(한화솔루션 수혜) 미국, 중국산 태양광 경계 강화(한화솔루션 수혜) 미국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뉴욕타임즈(NYT)는 미국 내 318개의 태양광 건설 공사가 연기되거나 취소됐다고 보도했는데요, 수백억 달러 규모의 공사가 중단된 이유는 태양광 모듈을 쉽게 구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태양광 모듈 82%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2012년 버락 오바마 시절부터 중국산 태양광 모듈에 14~15%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계속해서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동남아에서 수입되는 모듈이 실제로는 중국업체들의 해외 자회사 제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미국 상무부가 동남아산 태양광 모듈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입니다.. 2022. 4. 30. OCI 한화솔루션 태양광 관련주 - 올 해 태양광 발전 27.8% 증가 예상 OCI 한화솔루션 태양광 관련주 - 올 해 태양광 발전 27.8% 증가 예상 올해 전세계에서 230GW의 태양광 설비가 설치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최근 발표한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 해 신규 태양광은 184GW에 그쳤으나, 올 해는 탄소중립 이슈와 고유가 상황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대비 27.8%증가한 230GW가 전망됩니다. 폴리실리콘 가격 - 올 상반기까지 상승 추세 지속 태양광 모듈의 원료인 폴리실리콘은 메탈실리콘 등 원자재의 가격 상승으로 덩달아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런 추세는 올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요량 대비 생산 가능 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국내 기업 중 폴리실리콘 제조와 관련한 기업은 OCI입니다. OC.. 2022. 4. 25. 한화큐셀, 올해 적자 규모 확대 전망 한화큐셀, 올해 적자 규모 확대 전망 오늘은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부문인 한화큐셀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항상 긍적적인 뉴스만 나오면 좋겠지만, 현재 상황에서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시선은 어떤지, 그렇다면 우리는 앞으로 어떤 식으로 투자해야 할 지를 지켜보며 고민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올해 적자 규모 확대 전망 한화큐셀은 지난 해 미국 태양광 모듈 시장 1위를 지켰지만, 올 해 적재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저가 공세와 원자재값 인상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고, 물류비 부담마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폴리실리콘, 웨이퍼 등) 비용 증가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 적자를 극복하기 쉽지 않을 전망입.. 2022. 4. 18. 태양광 뉴스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태양광 뉴스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국내 최대, 글로벌 10대 신재생 에너지 전시회인 '국제 그린에너지 엑스포'에 올해 26개국 252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이번에도 태양광 전시가 주를 이뤘다는 소식입니다. 어떤 기업이 어떤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화솔루션 -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부인 한화큐셀은 미래 태양광 시장 게임 체인저로 평가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을 전시했습니다. 기존 실리콘 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를 겹겹이 쌓아 만드는 탠덤셀은 단파장과 장파장 빛 모두 흡수하여 발전 효율성을 대폭 올릴 수 있습니다(이론상 한계효율 44%,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29%). 탠덤 셀은 2024~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2022. 4. 16.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1위 업체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1위 업체 며칠전부터 계속 태양광과 관련한 소식들을 포스팅했는데요, 오늘 나온 따끈한 뉴스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 부문인 한화큐셀이 2021년 미국 내 주거용,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는 기분좋은 소식입니다. 미국 내 점유율 1위 업체 한화큐셀은 미국 내 주거용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24.1%로 4년 연속 1위를 기록했으며, 상업용 모듈 시장에서도 20.6%의 점유율로 3년 연속 1위를 유지했습니다. 정책 흐름을 타고 순항 예정 미국 시장은 바이든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으로 관련 산업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데요. 미국 에너지부는 2021년 4%의 태양광 발전 비중을 2035년까지 4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우드.. 2022. 4.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