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화시스템8

국내 위성통신 서비스 출시 기대 [원웹, 한화시스템] 국내 위성통신 서비스 출시 기대 [원웹, 한화시스템] 저궤도 위성통신란 무엇인가 ? 낮은 고도에 띄운 위성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지상에 세운 기지국에 비해 산이나, 건물의 방해를 받지 않아 더 많은 지역에, 빠르게 통신 서비스를 보급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00~1500km 궤도에 위성을 띄워 통신망을 구축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인데요, 낮은 궤도에 띄우는 이유는 전파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5G, 6G가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해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 대표기업 - 스페이스X, 원웹 + 한화시스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있습니다. 또한 영국 우주탐사기업 원웹은 세계 최초로 우주인터넷 위성.. 2022. 8. 1.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확대(KT, 한화)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 확대(KT, 한화)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인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위성을 쏘아올릴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6G 이동통신의 발전이 기대되며, 윤석열 정부도 우주산업과 위성통신, 6G 등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위 관계자는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라며, 3분기 중 예타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상에서 소형위성을 발사해 2,000km 내 저궤도에서 군집화해 지상 전역의 통신을 커버하는 기술입니다. 즉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해 세계 모든 곳(사막, 바다 포함)에 인터넷 보급이 가능하고, 날아다니는 UAM, 항공기 내에서도 Wifi 사용 .. 2022. 6. 23.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 UAM 산업 투자 확대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 UAM 산업 투자 확대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내년 3분기 UAM 개발에 공동 투자에 나섰습니다. 두 회사는 UAM 선도기업인 '오버에어(Overair)가 진행한 시리즈B(스타트업 두 번째 단계 자금조달) 투자에 참여했는데요, 오버에어가 발행한 오픈형 전환사채를 취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오픈형 전환사채란 전환가액을 정하지 않고 투자한 뒤, 이후에 기업가치가 정해지면 전환가액과 발행 주식 수가 결정되는 투자 방식입니다. 특히 한화시스템은 2019년 오버에어의 시리즈A에 2,500만달러를 투자해 에어택시 기체 '버터플라이'의 공동개발사로 협업 중이며, 지난 해 8월에는 3,000만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이번 시리즈B에서는 한화시스템이 5,000만 달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6,.. 2022. 6. 14.
2년 뒤 UAM 시대 - UAM 컨소시엄 현황 2년 뒤 UAM 시대 - UAM 컨소시엄 현황 2024년이면 도심항공교통(UAM)을 화면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프랑스는 오는 2024년 프랑스 파리올림픽에서 UAM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난달 영국에서는 드론과 플라잉카 전용 공항인 에어원(Air One)이 문을 열었습니다. UAM 산업이 어느정도 까지 다가왔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AM은 대표적인 미래 모빌리티 산업으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소형 비행체를 이용해 공중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비행체 개발, 이착륙시설, 운항, 관제, 플랫픔 등 다양한 산업이 집약되어 있어 전후방 파급효과가 큽니다. 2020년 70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2040년 약 1조4740억 달러까지 확장할 것으로 추산됩니다(모건스탠리) 국내.. 2022. 6. 5.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②] 자회사 분석 & 한화그룹과 시너지 기대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②] 자회사 분석 & 한화그룹과 시너지 기대 쎄트렉아이는 두 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쎄트렉아이 본 업과 어떤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쎄트렉아이 지분을 취득하여 우주산업 전담 TF팀을 출범한 것이 어떤 의미일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IIS - 위성영상판매 (지분 62.5%) 쎄트렉아이의 자회사인 SIIS는 위성영상 판매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합니다. 촬영된 위성영상을 직접 판매, 고객이 직접 위성영상을 수신하도록 직수신권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원가 비중이 크지 않고 이익이 많이 발생하는 사업으로 위성 보유자와의 계약 여부가 관건입니다. 우리나라 아리랑 3,5,3A호 위성영상 독점 판매권 획득, 해외 국가들과의 위성.. 2022. 5. 30.
한화시스템, UAM에 위성인터넷까지?! 한화시스템, UAM에 위성인터넷까지?! 드론을 닮은 UAM(도심항공 모빌리티) 기체인 '버터플라이'는 한화시스템이 미국 오버에어와 협력해 개발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2020년 오버에어 지분의 30%를 약 3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버터플라이'는 100% 전기로 구동되어 탄소배출 문제에도 자유로우며, 수직 이착륙이 가능해 넓은 활주로가 필요 없으며, 기존 헬리콥터 대비 고성능, 고효율과 저소음으로 도시 속에서 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대속도 320km/h로 서울과 인천을 20분만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한화시스템, 미래 모빌리티 토탈 솔루션 구축 목표 한화시스템은 버터플라이의 상세 설계를 진행 중입니다. 2023년 상반기 무인 시제기 제작이 목표로 2024, 2025년.. 2022. 5. 2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항공우주 관련주 우주 발사체 전문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그룹은 과기부에서 주관하는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가 함께 통합 에비오닉스 개발 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습니다.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은 국가 우주전략기술 자립을 위해 과기부에서 2030년까지 2,115억을 투입하는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한 사업입니다(총 16개의 산업체 포함). 이 중 '발사체 저비용, 경량화' 사업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한 컨소시엄이 2028년까지 가격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에비오닉스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사일 제작경험, 방산관련하여 많은 발사 경험을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기에 해당 컨소시엄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에비오닉스는 항공, 우주.. 2022. 5. 1.
원웹 & 키메타, 우주인터넷 서비스 제공(+ 한화시스템) 원웹 & 키메타, 우주인터넷 서비스 제공 금일 위성인터넷과 관련하여 좋은 기사가 나와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영국 위성 인터넷 전문 기업 '원웹(OneWeb)'이 미국 안테나 업체 '키메타'와 함께 미국 정부에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소식입니다. 원웹 자회사 원웹 테크놀로지가 키메타와 지난 18일 광대역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는데요. 키메타의 안테나와 원웹 테크놀로지의 하드웨어 솔루션이 결합하여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원웹 - 저궤도 위성통신 대표 기업 원웹은 2019년 세계 최초로 우주인터넷용 위성을 발사한 우주 인터넷 대표 기업입니다. 그동안 저궤도에 428개를 쏘아올렸고, 올 해 648개를 띄워 본격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 2022.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