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정의
주식을 하다보면 가끔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한 내용을 접할 수 있습니다. 그 개념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전환사채란 채권이긴하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을 말합니다. 채권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원금과 이자를 받는 상품으로, 이와 마찬가지로 전환사채도 (비록 이율이 낮지만) 이자를 지급받습니다.
CB에 투자한 투자자는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사채에 표시된 전환기간 내에 정해진 가격에 따라 CB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 때 시세차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미래에 주가가 올라갈 기대가 되는 회사의 CB를 사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CB를 발행하는 목적은 낮은 이자로 더 많은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함이거나, 기업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받기 위해서입니다. 새로운 설비, 공장 등에 투자하는 것은 기대되는 부분이나, 기업 운영에 필요한 비용은 그만큼 회사 사정이 좋지 못하다는 반증이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전환사채발행결정에대한보고서를 꼼꼼히 읽어보셔야 합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 with Warrant)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전환사채와 비슷하나 핵심적으로 다른 것은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을 하면 주식이 생기고 채권이 소멸되나,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채권은 그대로 유지하며 투자자가 원할 경우 정해진 가격에 신주를 매수할 수 있습니다.
BW는 분리형과 비분리형이 있습니다. 분리형은 투자자가 신주를 받고 주식을 매도해도 채권은 그대로인, 말 그대로 주식과 채권을 분리하는 형태이고, 비 분리형은 반대로 주식을 매도하면 채권도 소멸됩니다. 분리형은 현재 공모형만 발행이 가능합니다.
CB와 BW가 자주 발행된다면 그만큼 회사의 주머니 사정이 좋지 못하다는 의미로, 시장에서는 좋게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또한 기존의 주주들 입장에서 CB와 BW가 발행된다면 그만큼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식의 수가 증가하는 것인만큼 주주가치가 훼손됩니다. 기존 주주 입장에서는 악재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새로운 주주 입장에서는 주식 전환, 취득을 통해 차익을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면가, 액면분할, 액면병합 의미 이해하기 (0) | 2022.07.23 |
---|---|
무상증자란 ? 무상증자 개념 기초(+ 권리락) (0) | 2022.06.18 |
보통주 우선주 차이 비교(쉬운 개념 정리) (0) | 2022.06.11 |
기업의 시가총액이란 ? 시가총액 정의 및 순위 (0) | 2022.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