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3

[KT LG유플러스 SKT 한컴 네이버]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 진출 [이동통신3사 & 플랫폼 기업]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 진출 국내 통신 3사, 한컴, 네이버 뿐 아니라 LIG넥스원, KAI 도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인공위성 데이터는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지구 관측 영상, 사진 등을 통해 얻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우주산업 규모는 3조 2610억원 수준으로, 세계 우주 시장의 1%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위성방송통신, 항법 분야가 전체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위성제조(10%) 및 발사체 제작(6%)의 규모가 무척 작습니다. 스페이스 데이터 외 다른 분야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커 다른 우주산업으로는 진출이 한정적인 상황입니다. 이동통신 3사 - 뉴스페이스 시대 대응 KT.. 2022. 7. 26.
2년 뒤 UAM 시대 - UAM 컨소시엄 현황 2년 뒤 UAM 시대 - UAM 컨소시엄 현황 2024년이면 도심항공교통(UAM)을 화면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프랑스는 오는 2024년 프랑스 파리올림픽에서 UAM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난달 영국에서는 드론과 플라잉카 전용 공항인 에어원(Air One)이 문을 열었습니다. UAM 산업이 어느정도 까지 다가왔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AM은 대표적인 미래 모빌리티 산업으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소형 비행체를 이용해 공중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비행체 개발, 이착륙시설, 운항, 관제, 플랫픔 등 다양한 산업이 집약되어 있어 전후방 파급효과가 큽니다. 2020년 70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2040년 약 1조4740억 달러까지 확장할 것으로 추산됩니다(모건스탠리) 국내.. 2022. 6. 5.
도심항공교통(UAM), 2025년 상용화 된다 도심항공교통(UAM), 2025년 상용화 된다 에어택시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공중을 다니며 승객을 이동시키는 택시인데요, 예전에는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로만 느껴졌는데, 최근 UAM과 관련한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 생각보다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가 에어택시를 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심항공교통, 2025년 상용화 목표 UAM은 Urban Air Mobility 의 약자로 도심 항공 교통을 뜻합니다. 도심 항공 교통은 쉽게 말해 차세대 공중 교통체계라 할 수 있습니다. 운송기체, 정류장(버티포트), 정보통신 인프라, 플랫폼 등이 모두 포괄된 개념입니다. 운송기체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라고 할 수 있고, 이 운송기체는 도시 권역 30~50km를 시속 300km로 비행.. 2022.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