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뉴스 & 공부/친환경

이제는 원전과 풍력이 주목 받을 때

by 돈이 보이는 투자 이야기 2022. 4. 23.

이제는 원전과 풍력이 주목 받을 때

온실가스 감축과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은 전 세계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각 나라마다 정책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다르기 마련인데요. 우리나라는 '2030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2018년 대비)과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 Zero'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탈원전과 신재생, 특히 태양광 에너지를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권교체를 앞두고 인수위에 의해 그 방향성이 조금 달라질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탈원전 → 원전확대 추진

19일 인수위에 따르면 차기 정부는 탄소배출 감축 흐름은 이어가지만 탈원전, 신재생에너지 확대에서 원전확대, 신재생 에너지믹스 개편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원전이 다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원전 건설 재개와 노후 원전의 운전 지속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수위는 앞선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원전 가동률 상향을 주문한 바 있습니다. 원전 비중 축소로 인해 석탄 및 LNG발전이 급증했다는 의견과 함께, 올 하반기 12월 내 친환경 에너지원을 뜻하는 그린 텍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포함해 10차 전력수급계획에 새로운 정책 기조를 반영할 것이라 설명했습니다. 

 

풍력에너지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체계 개편

차기 정부는 기존 태양광 중심의 신재생에너지를 개편하여, 풍력 등 다양한 에너지 활용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태양광으로 쏠려있는 현 정책으로 인해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광 발전을 대체할 차기 주력 에너지원으로 풍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제주 풍력발전을 활용한 국내 첫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에 나선 바 있습니다. 풍력을 통해 얻은 전기에너지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사업입니다.

 

* 그린수소와,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등 종류에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에 올려놓았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vestin.tistory.com/8

 

"석유보단 수소", 모건스탠리의 톱픽(TOP Pick)은 ?

"석유보단 수소", 모건스탠리의 톱픽(TOP Pick)은 ?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최근 러시아발 국제 유가 급등세에, 수소로의 에너지 전환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수소주를 톱 픽으로 제시했습니

investin.tistory.com

 

 

정권이 바뀌게 되면 새로운 대통령과 장관들에 의해 정책과 나라의 운영방향이 결정됩니다. 어떤 정책이 더 나을지는 아무도 알 수 없고, 모두들 다 각자의 생각이 있기 때문에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새로운 정부의 새로운 정책과 관련한 산업은 아마 발전할 것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존에 태양광은 21년 재생에너지 설비 29GW 중 21GW(72%)를 차지하는 반면 풍력은 1.7GW(5.8%)로 태양광에 비해 미미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정부에서 재생에너지 확대 비중을 조정하며 풍력에너지에 힘을 불어넣어주고 있는 상황인데요. 앞으로는 태양광 산업 뿐 아니라, 풍력에너지와 관련된 부분도 눈여겨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D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4090 

 

尹정부, 신재생에너지 개편 예고…“태양광 지고 풍력 뜬다” - 이뉴스투데이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대대적인 수선·개편 의지를 밝힘에 따라 차기 윤석열 정부에서 기존 에너지믹스 체계의 변화가 일 전

www.enewstoday.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20419154600051?did=1195m 

 

남부발전,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 수소 생산 실증 | 연합뉴스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한국남부발전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관 '10MW 재생에너지 연계 대규모 그린 수소 실증 기술 개발' 정부 지...

www.yna.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