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밸류체인 강화 ?! (feat. 웅진에너지 인수설)
국내 태양광 대표 기업인 한화솔루션이 웅진에너지 인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큐셀) 부문은 태양광 셀과 모듈을 제조하는 사업인데, 웅진에너지는 이런 셀과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잉곳과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웅진에너지를 품게 된다면 잉곳부터 모듈까지의 태양광 밸류체인이 강화될 것이며, 이는 태양광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까지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웅진에너지, 국내 유일의 잉곳 & 웨이퍼 생산 기업
웅진에너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태양광 잉곳과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잉곳과 웨이퍼는 단결정or다결정에 따라 시장특성을 보이는데, 단결정은 고효율 출력이 가능하여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지만, 다결정은 제조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고 공급과잉이 극심하여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웅진에너지는 고효율 발전 능력을 갖춘 단결정 제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태양광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이 점점 고효율을 강조하고 있는 요즘, 웅진에너지의 단결정 제품이 빛을 발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참고사항
① 웅진에너지 매출 및 영업이익(21년 / 20년)
- 매출액 : 886억 / 340억
- 영업이익 : -105억 / -106억
- 당기순이익 : -192억 / 1,102억
② 웅진에너지 자산 현황(21년말 / 20년말)
- 자산 : 1,028억 / 1,235억
- 부채 : 665억 / 682억
- 자본 : 362억 / 553억
https://link.coupang.com/a/mQBn2
프랑떼 바른자세 게이밍 허리쿠션
COUPANG
www.coupang.com
한화솔루션, 중국에 의존하지 않는 밸류체인 강화
아직은 웨이퍼 제작에 필요한 핵심원료인 폴리실리콘을 중국에서 많이 수입하기 때문에 , 중국 대외여건에 따라 소재 가격이 치솟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웅진에너지 인수를 통해 당장의 큰 혜택을 보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글로벌 시장장악력이 막대하기 때문에, 한화솔루션이 웅진에너지 인수를 통해 잉곳과 웨이퍼 공급망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그 원료인 폴리실리콘은 미국으로부터 얻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미국 폴리실리콘 제조 업체인 REC실리콘 지분을 21.34%까지 늘렸었고, 최근 OCI와 폴리실리콘 장기 공급계약을 맺기도 했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제품 공급이 가능해지고, 더 좋은 효율의 제품을 생산하여 미국, 유럽 등 태양광 사업 경쟁력을 높이려는 모습입니다.
태양광 시장 전망이 밝은 가운데 웅진에너지와 한화솔루션이 손을 잡아 태양광 산업을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해 봅니다.
https://fetv.co.kr/news/article.html?no=114793
한화솔루션, 웅진에너지 인수 '신중모드'지만 군침흘리는 까닭?
[FETV=박제성 기자]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첨단소재에 대한 자원영토 확장을 위해 웅진에너지 인수에 군침을 흘리고 있는 가운데 인수여부에 고심 중이다. 한화솔루션의 주력사업은 태양광(큐셀)
www.fetv.co.kr
'산업 뉴스 & 공부 > 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솔루션, 한국&미국에 대규모 투자 (0) | 2022.05.13 |
---|---|
한화솔루션, 볕(태양광) 뜰 날만 남았다 (0) | 2022.05.10 |
태양광 폴리실리콘 가격, 계속해서 오른다(OCI 강세) (0) | 2022.05.04 |
미국, 중국산 태양광 경계 강화(한화솔루션 수혜) (0) | 2022.04.30 |
OCI 한화솔루션 태양광 관련주 - 올 해 태양광 발전 27.8% 증가 예상 (0) | 2022.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