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 스페이스X, 우주인터넷 경쟁
지난 4월 5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우주인터넷 사업을 추진하면서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경쟁에 돌입한 소식을 다시 한 번 다뤄볼까합니다.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무인 드론 등의 서비스를 위해 초고속 통신망은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고, 발사체 비용의 획기적 감소 등으로 우주인터넷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아마존, 저궤도에 3,000기 이상의 위성배치 계획
아마존은 일명 '카이퍼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인터넷망을 구축합니다. 총 3,236기의 소형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려 세계 어느 곳이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인데요.
이를 위해 아마존은 앞으로 5년간 총 83회의 위성을 발사합니다. 계약을 체결한 발사업체는 ULA(38회), 아리안스페이스(18회), 블루오리진(27회)로 이번 계약은 상업용 우주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위성들은 지구 저궤도 590km(784기), 610km(1,296기), 630km(1,156기)에 배치되며, 지구상 북위56도~남위 56도를 커버해 전 세계 95%인구에 인터넷 제공이 가능하도록 계획 중입니다.
FCC(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승인한 계획안에 따르면 2026년 7월까지 최소 절반 이상을 운영하게 되며, 올 해 말쯤 한 쌍의 프로토타입 위성을 발사한다고 합니다. 이를 기점으로 올 해 말쯤에 항공우주 산업이 더 크게 관심을 받게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직 한 기의 위성도 보내지 않은 상태이지만 곧 스페이스X와의 우주 경쟁에 돌입할 것입니다.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이미 2,000기 이상 궤도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우주인터넷망 프로젝트는 스타링크(Starlink)입니다. 227kg의 소형 위성 약 12,000기를 지구 저궤도에 띄워 전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넷 서비스 계획인데요, 앞으로 40,000개를 더 쏘겠다며 허가를 신청했다고 합니다. 2019년에 자체 제작한 팰컨9 로켓을 사용해 이미 궤도 500~600km에 2,000기 이상 위성을 쏘아 올린 상태입니다. 위성을 촘촘히 배치하는 이유는 보다 안정적인 인터넷망을 구축하기 위함인데요. 우주인터넷망을 이용하면 인터넷 회선 없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됩니다(이미 전 세계 25만명이 스타링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위성인터넷이 보급된다면 해외에 나갔을 때 로밍을 할 필요도 없으며, 사막, 오지, 바다 한가운데, 높은 고도의 산지 등 모든 곳에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렇게 먼 미래가 아니며 아마존의 카이퍼프로젝트가 절반정도 진행되는 2026년 정도에는 많은 사람들이 위성인터넷을 사용할 것이며,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율주행, 무인 드론, IoT등 다양한 분야에서 간접적으로 위성인터넷을 사용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우주 산업이 발전해가길 기대해봅니다 :D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3/0000031074?sid=105
아마존 vs 스페이스X, 우주인터넷 경쟁 시동
인간의 마지막 개척지인 우주. 그곳을 차지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재벌들이 별들의 전쟁을 시작했다. 지난 4월 5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우주인터넷 사업의 본격 추진을 선언하면
n.news.naver.com
https://investin.tistory.com/19?category=551204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뉴스에서도 많이 볼 수 있듯이 많은 기업들이 우주로 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고, 우주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는 기업들의 투자와 노력들이 많이 보이게 됩니
investin.tistory.com
'산업 뉴스 & 공부 > 항공우주 & 6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항공우주 관련주 (0) | 2022.05.01 |
---|---|
앞으로 우주산업이 더 커진다(feat. 윤석열 정부) (0) | 2022.04.27 |
한컴그룹, 올 6월 인공위성 띄운다(한컴인스페이스) (0) | 2022.04.24 |
원웹 & 키메타, 우주인터넷 서비스 제공(+ 한화시스템) (0) | 2022.04.20 |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0) | 2022.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