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뉴스 & 공부/항공우주 & 6G

[쎄트렉아이 기업분석 ①] 국내 유일 위성시스템 개발 업체

by 돈이 보이는 투자 이야기 2022. 5. 29.

쎄트렉아이, 국내 유일 위성시스템 개발 업체

쎄트렉아이는 1999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출신 연구원들 중심으로 설립 되었으며, 1990년대 우리별 위성 시스템 개발 및 2000년대 나로호 발사를 비롯하여 30여개의 국내외 우주사업에 참여하여 높은 기술력을 축적해오고 있습니다. 

 

쎄트렉아이는 지구 관측용 위성체계 개발 및 수출기업으로, 위성 본체, 전자광학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을 아우르고 있어 인공위성 시스템 전체 일괄 공급이 가능한 국내 유일한 기업입니다. 쎄트렉아이는 카메라, 센서, GPS수신기 등 대부분의 위성 부품을 자체적으로 설계, 생산하고 있고, 자회사 SIIS(지분 62.5%)를 통한 영상 판매사업과 SIA(지분 89.2%)를 통한 영상 분석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 해상도 'SpaceEye-T' 개발 중

쎄트렉아이의 성장 핵심은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입니다. 관측위성의 경우 탑재체에 내장된 카메라의 성능과 관측을 위한 제어 성능이 중요합니다. 특히 카메라 등 인공위성 부품은 우주 환경에서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그 무게 또한 가벼워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카메라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해상도이며 그 외에도 촬영 범위, 인공위성 기대수명, 무게 등 다양한 요소가 있습니다. 쎄트렉아이는 해상도 0.5m 급 SpaceEye-X를 개발 완료 했으며, 현재 해상도 0.3m급의 SpaceEye-T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0.3m는 현존하는 관측위성 중 가장 좋은 해상도이며, 개발 진행률이 90%이상입니다. 1기 당 가격이 약 1억 달러로 한 기 수주로도 큰 폭의 성장이 가능합니다. 이 위성을 자체 투자로 개발한 뒤 직접 운용할 계획이며, 발사 목표 시기는 2024년입니다. 

SpaceEye-T 모습 / 사진:쎄트렉아이

해상도는 숫자가 낮을수록 좋은 성능이 뛰어난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해상도 1m는 가로세로 1m인 물체가 위성사진 한 픽셀로 나타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상도에 따른 관측위성 사진 / 사진 : 유진투자증권

같은 성능을 가진 경쟁사 인공위성 WorldView-3(Ball Aerospace & Technologies)와 비교 했을 때 가격은 1/3 수준, 무게는 1/4 수준으로 경쟁력이 확보된 상태입니다.

 

관측위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위성 카메라 해상도입니다. 세계 최고 기술 수준까지 올라온 쎄트렉아이는 경쟁사와 대비해서 경쟁력이 확보된 상태입니다. 시장조사단체 마캣앤마켓은 위성데이터 서비스 시장의 가치는 59억 달러(2021년) 에서 167억 달러(2026년)으로 연 23%의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으며, 농업 분야와 정부 및 군사 분야에 가장 많이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ttps://www.ciokorea.com/news/234049

 

"위성 데이터 서비스 시장, 2026년까지 연간 23% 성장" - CIO Korea

위성 데이터 서비스 시장의 가치가 2021년 59억 달러에서 2026년에는 167억 달러에 이르며 23%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소형 위성 생태계의 모든 부분에 투자를 하고 있는 상

www.ciokore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