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에너지19

한화큐셀, 올해 적자 규모 확대 전망 한화큐셀, 올해 적자 규모 확대 전망 오늘은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부문인 한화큐셀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항상 긍적적인 뉴스만 나오면 좋겠지만, 현재 상황에서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시선은 어떤지, 그렇다면 우리는 앞으로 어떤 식으로 투자해야 할 지를 지켜보며 고민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올해 적자 규모 확대 전망 한화큐셀은 지난 해 미국 태양광 모듈 시장 1위를 지켰지만, 올 해 적재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저가 공세와 원자재값 인상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고, 물류비 부담마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폴리실리콘, 웨이퍼 등) 비용 증가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 적자를 극복하기 쉽지 않을 전망입.. 2022. 4. 18.
태양광 뉴스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태양광 뉴스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국내 최대, 글로벌 10대 신재생 에너지 전시회인 '국제 그린에너지 엑스포'에 올해 26개국 252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이번에도 태양광 전시가 주를 이뤘다는 소식입니다. 어떤 기업이 어떤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화솔루션 -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부인 한화큐셀은 미래 태양광 시장 게임 체인저로 평가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을 전시했습니다. 기존 실리콘 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를 겹겹이 쌓아 만드는 탠덤셀은 단파장과 장파장 빛 모두 흡수하여 발전 효율성을 대폭 올릴 수 있습니다(이론상 한계효율 44%,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29%). 탠덤 셀은 2024~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2022. 4. 16.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1위 업체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1위 업체 며칠전부터 계속 태양광과 관련한 소식들을 포스팅했는데요, 오늘 나온 따끈한 뉴스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사업 부문인 한화큐셀이 2021년 미국 내 주거용,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는 기분좋은 소식입니다. 미국 내 점유율 1위 업체 한화큐셀은 미국 내 주거용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24.1%로 4년 연속 1위를 기록했으며, 상업용 모듈 시장에서도 20.6%의 점유율로 3년 연속 1위를 유지했습니다. 정책 흐름을 타고 순항 예정 미국 시장은 바이든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으로 관련 산업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데요. 미국 에너지부는 2021년 4%의 태양광 발전 비중을 2035년까지 4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우드.. 2022. 4. 11.
미국 내 태양광 1위 기업.. "한화큐셀" (feat. SEMA) 미국 내 태양광 1위 기업.. "한화큐셀" 계속해서 말씀드리는 부분이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전세계 '에너지 안보' 문제가 대두되면서, 각 국의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태양광 산업의 세액공제 법안의 연내 통과가 예측되면서 한화큐셀의 수혜도 기대가 되는 상황입니다. 미국 : SEMA(Solar Energy Manufacturing for America Act) 법안 통과 기대감 미국 내 태양광 산업 육성법안으로, 미국에서 생산한 태양광 모듈과 전지 등에 대해 2030년까지 세액공제를 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재 상원의 통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로, 연내 통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화큐셀 : SEMA 법안 통과 시 최대 수혜 기업 한화큐셀은 미국 주.. 2022. 4. 10.
풍력에너지 관련주 : 씨에스윈드 풍력에너지 관련주 : 씨에스윈드 아시다시피 풍력에너지는 태양광에너지와 더불어 대표적인 재생에너지입니다. 오늘은 풍력에너지와 관련한 대표기업을 함께 알아보고자 하는데요, 단순히 종목에 대한 추천으로 생각하시기보다는 풍력에너지업계가 매출의 추이는 어떻고, 시장의 수요는 어떻구나 라는 생각을 하시면서 접근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씨에스윈드는 전세계 풍력타워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18년부터 큰 폭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신재생에너지가 주목을 받으며 계속해서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습니다. 연간 수주 70% 상향 - 유럽 시장 수혜 전망 씨에스윈드는 연간 수주 목표를 지난해 8억5,000만달러 대비 70%증가한 13억달러로 제시했습니다. 연간 수주 목표를 한 해만에 70%나.. 2022. 4. 6.
한화솔루션, 한화큐셀에 집중하자 한화솔루션, 한화큐셀에 집중하자 안녕하세요 ~ :-) 오늘은 오늘 발간된 한화솔루션 증권사 리포트를, 그 중 태양광과 관련한 부분 위주로 다뤄볼까합니다. ▣ 증권사 리포트 요약 1. 1Q22 영업이익은 1,240억원으로 추정 컨센서스 1,436억에 하회할 전망이지만 한화큐셀 영업이익은 -1,088억원으로 적자가 축소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지난 4분기 대비 원가 하락이 반영되고 있고, ASP(평균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전망입니다. 평균 판매가격이 상승하여 가격 전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소식입니다. 케미칼 부분도 유가 급등으로 원가 부담이 심화되지만 가성소다 및 PVC 시황의 견조한 수요로 좋은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 본업의 지속 수요 증가와 점차 개선될 한화큐셀 매출.. 2022. 4. 4.
[산업공부 - 태양광 ②] 페로브스카이트(PSC) 관련 업체는 ? 페로브스카이트 관련 업체는 ?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PSC) : 새롭게 등장할 태양광 소재로, 1micron 두께의 태양광 셀 페로브스카이트(PSC)란 러시아 우랄 산맥에서 처음 발견된 산화칼슘 티타늄 광물입니다. PSC는 부도체/반도체/도체/초전도 성질을 보이며, 얇고 유연한 성질을 가집니다. PSC는 그 특이한 성질로 인해 태양광 산업에서 꿈의 소재로 표현되고는 하는데요. 어떤 이유 때문인지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태양광으로 세계 전력을 충당하려면 기본적으로 1) 효율 2) 가격 3) 충분한 면적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개발 된 것이 1micron 두께의 페로브스카이트 셀 입니다. 위 사진이 페로브스카이트인데요, 얇은 스티커처럼 생겼는데, 태양광 발전의 핵심 소재로 자리잡을 것이며, .. 2022. 3. 31.
[산업공부 - 태양광 ①] 태양광 제조 과정 태양광 제조 과정 산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해당 산업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기본입니다. 태양광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제조 공정을 함께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 내용을 정리합니다. 더보기 ● 태양광 제품 제조 과정 석영(규소) → 폴리실리콘 → 웨이퍼 → 셀 → 모듈 단위 제작 → 태양광 발전 1) 석영 : 석영은 쉽게 말해 모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석영에 규소(Si) 함유량이 높아 폴리실리콘 제작에 활용됩니다. 석영(SiO2)에 코크스(탄소, C)를 첨가해 열을 가하면 산소가 날아가고 메탈실리콘(MG-Si)형태가 됩니다. 2) 웨이퍼 생산 : 웨이퍼는 반도체 특성을 부여하기 전, 그림을 그릴 도화지(고순도의 기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동그란 것은 반도체에 쓰이는 웨이퍼, 태양광에 사용되는.. 2022. 3. 30.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 국내 태양광 관련주 한화솔루션(태양광 수혜주) 국내 태양광 관련 가장 대표적인 종목은 한화솔루션 입니다. 최근 한화솔루션은 REC실리콘의 지분을 16.67% → 21.34% 로 늘려 최대주주로 등극을 했는데요, REC실리콘은 미국 내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 기판의 핵심 원재료이며, 이를 이용해 웨이퍼, 셀, 모듈 단위를 제작하여 태양광 제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사실 한화솔루션은 이전에 폴리실리콘 사업을 이어가다 수년간의 적자로 2022년에 철수를 했습니다. 중국의 원가경쟁에서 밀려버린 것이지요. 그러다 최근 폴리실리콘 가격의 급등으로 지난해 말 REC실리콘 지분을 투자했으며, 최근 최대주주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폴리실리콘 사업 확대에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또한 미국 업.. 2022.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