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우주15

인공위성 관련주 - 인텔리안테크 인공위성 관련주 - 인텔리안테크 항공우주 관련한 기업으로 인텔리안테크를 예전부터 봐 왔습니다. 새 정부의 움직임을 비롯하여 올 해 항공우주와 관련하여 좋은 소식들이 기다리고 있어, 인텔리안테크는 어떤 기업인지 함께 미리 공부해놓으면 좋을 것 같아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인텔리안테크 주요 사업 - 위성통신 안테나 개발 위성통신은 유선통신망이나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및 통화를 전달받는 것과는 달리 통신용 인공위성과 위성통신 안테나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위성통신 서비스는 지형지물에 관계없이, 넓은 지역에 고르게 통신할 수 있고, 드론 및 자율주행차의 통신 서비스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기술입니다. 특히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을 선점하기 위해 스페이스X는 이미 2,00.. 2022. 5.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 관련주 추천 - 위성엔진 제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 관련주 추천 - 위성엔진 제작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 2일, 누리호에 사용되는 75t급 엔진 출하식을 열었습니다. 해당 엔진은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비행시험을 통해 검증까지 마친 최초의 우주발사체 엔진입니다. 이번 출하된 엔진은 누리호 3차 발사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발사체 엔진 제작에 진심 한국은 2010년부터 1.5t 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를 개발하는 '누리호 사업'을 진행중인데요, 300여개 업체가 참여했고, 엔진 제작부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가장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16년 나로호 엔진 납품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46기의 엔진을 제작했습니다. 우주.. 2022. 5. 5.
인공위성 고체 발사체 vs 액체 발사체 인공위성 고체발사체 vs 액체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가 오는 6월로 다가오는 가운데, 위성을 발사하는 발사체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우주 발사체는 인공위성이나 우주망원경, 탐사선을 우주 궤도에 올리는 유일한 운송 수단으로, 발사체는 엔진이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고체 발사체와 액체 발사체로 나뉘게 됩니다. 액체 우주발사체 2013년 국내에서 발사 성공했던 나로호의 1단과 지난 10월 발사했던 누리호의 1~3단은 등유와 액체산소를 결합한 액체연료를 연소시켜 추력을 얻는 액체 엔진이 들어갔습니다. 액체 발사체는 목표한 궤도로 위성을 나르기 위해 터보펌프와 연소기, 가스발생기 등 엔진기술과 정밀한 역체연료 기술이 들어갑니다. 어려운 기술이다보니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고체 우주발사체 반면 고체 발사체는.. 2022. 5. 2.
앞으로 우주산업이 더 커진다(feat. 윤석열 정부) 앞으로 우주산업이 더 커진다(feat. 윤석열 정부) 윤석열 정부에서 우주 관련 산업을 더 확대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달 미국을 방문한 한미정책협의 대표단이 미국 측과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한국 참여를 논의했다고 합니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 한미 기술 협력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추진 중인 달 탐사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일본과 이탈리아 포함 10여개 나라가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해 5월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아르테미스 약정에 가입했습니다. 한미간의 우주항공 관련 기술협력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인수위 관계자는 '이번 정부에서 국가 예산과 인력 등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더 많이 투입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 2022. 4. 27.
아마존 & 스페이스X, 우주인터넷 경쟁 아마존 & 스페이스X, 우주인터넷 경쟁 지난 4월 5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우주인터넷 사업을 추진하면서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경쟁에 돌입한 소식을 다시 한 번 다뤄볼까합니다.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무인 드론 등의 서비스를 위해 초고속 통신망은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고, 발사체 비용의 획기적 감소 등으로 우주인터넷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아마존, 저궤도에 3,000기 이상의 위성배치 계획 아마존은 일명 '카이퍼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인터넷망을 구축합니다. 총 3,236기의 소형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려 세계 어느 곳이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인데요. 이를 위해 아마존은 앞으로 5년간 총 83회의 위성을.. 2022. 4. 17.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항공우주, 아마존도 속도를 낸다 뉴스에서도 많이 볼 수 있듯이 많은 기업들이 우주로 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고, 우주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는 기업들의 투자와 노력들이 많이 보이게 됩니다. 이들은 왜 우주로 가려고 할까요? 우주로 진출한 기업들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우주를 갈까요? 단순히 달 탐사, 화성 개발, 관광, 국가안보의 목적보다는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한 6G의 보급이 가장 큰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모든 곳에 공급한다면 통신사업 뿐 아니라 드론, 플라잉카,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산업에 이를 접목시킬 수 있기에 많은 기업들이 위성을 쏘아올리고 있습니다. 아마존, 우주인터넷 수조원 투입 2019년 4월, 아마존이 '카이퍼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카이퍼 프로젝트는 지구 저궤도에 통신위.. 2022. 4. 14.